You are currently viewing 혈액까지 투명하게 숨기는 유리개구리와 혈전치료 전망
유리개구리

혈액까지 투명하게 숨기는 유리개구리와 혈전치료 전망

중미와 남미에 사는 매우 작은 유리개구리는 스스로 혈액까지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유리개구리는 혈전이 생기지 않는다. 이를 잘 연구하면 혈전증과 폐색전증 등 혈전 관련 질환 치료법이 진전될 것이다. 

학술지 사이언스 2022년 12월 마지막주 표지 유리개구리

유리개구리(glassfrog) 사진이 학술지 사이언스의 표지에 실렸다. 초록색 나뭇잎 위에 작고 투명한 개구리가 몸속 장기가 그대로 보이는 채로 앉아 잠을 자고 있다. 

유리개구리
유리개구리. Science

 미국 자연사박물관과 듀크대 공동 연구팀이 유리개구리의 이러한 능력에 주목해서 이 주제를 사이언스에 실었다. 해양 생태계에는 스스로 피부색을 투명하게 만드는 생물이 여럿 존재한다.

 그러나 육지에서는 매우 드물다. 혈액이 빨간 이유는 적혈구 때문인데 혈액에 가득차 있는 적혈구를 투명하게 만드는 일이 어렵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광음향 영상(Photoacoustic imaging)를 이용해서 유리개구리 생체 내부를 관찰했다. 

혈액의 적혈구까지 투명하게 만드는 유리개구리

열대지방에 주로 서식하는 유리개구리는 혈액의 적혈구까지 투명하게 만든다. 평소 활동을 할 때는 주변 초록 나뭇잎과 어우러지도록 보호색인 녹색이다. 그러나 잠을 잘 때는 포식자의 눈을 피하기 위해 피부와 근육을 투명하게 한다.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bl6620

과학자들이 관찰해 보니 유리개구리가 몸을 투명하게 하는 원리는 혈액속 적혈구를 이동시켜 간에 저장하는 것이다.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제시 델리아 박사는 유리개구리가 본질적으로 적혈구를 남의 눈에 띄지 않게 하면서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고 말한다. 

 즉, 유리개구리는 잘 때에는 거의 호흡하지 않는다. 그러다 다시 활동을 시작하면 간에 있던 적혈구가 다시 혈액으로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신기하게도 혈전이 생기지 않는다.

 적혈구를 간에 응집해서 보관하는 과정에서 적혈구끼리 뭉치면 혈전이 생긴다. 그러나 유리개구리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혈전을 방지하는 어떤 기능이 있는 걸로 추정된다.

혈전이 안생기는 유리개구리와 인간의 혈전질환

쇤케 욘센 듀크대 생물학과 교수는 유리개구리가 자는 동안에는 몸을 투명하게 하기 위해 적혈구를 간에 숨겨두고, 활동할 때는 다시 혈관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혈전이 생기지 않는 현상을 발견했다.

 욘센 교수는 이러한 유리개구리의 메커니즘을 연구하면 혈전증, 폐색혈전증 등 혈전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혈전은 혈액의 응고기전을 줄인말이다. 응고기전은 응고인자과 같은말이다.

 기전, 기제, 기작은 영어 메커니즘(mechanism)의 번역어로 공통된 기능을 분담하는 부분이나 과정 등의 조합양식이라는 뜻이다. 쉽게 말해 물체나 현상의 작용원리나 작용과정을 말한다. 

 즉, 혈전은 혈소판과 피브린(fibrin)이 모여 응집되어(=덩어리져서) 암적색을 띠는 덩어리이다. 채혈한 혈액에서 발생하면 혈병이라 하고 체내에서 생성되면 혈전이라 한다. 

 피브린은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섬유질의 비구형 단백질이다. 피브린은 혈관 내벽이 부서지면 혈소판을 끌어당겨 혈소판 마개를 형성한다. 혈소판과 피부린은 함께 작용한다. 

 혈전은 보통 섬유소 용해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소멸된다. 그러나 병적으로 생성된 경우에는 생성량이 증가하여 체내에서 모두 용해시킬 수 없어서 온몸을 떠돌아 다니다 혈관을 막아 뇌졸중, 심근경색 등 질병을 유발한다. 

(출처: 위키백과, science)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혈전은 혈액순환을 막는 혈액덩어리이다. 유리개구리는 혈전이 안생긴다. 아직 현상만 관찰되었을 뿐 정확한 메커니즘(=기전)과 원리는 연구중이다. 규명이 되면 인간 혈액내에서 혈전을 방지하는 치료책을 찾는데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health

건강하고 가뿐하게 살 수 있는 의학정보와 건강정보를 제공합니다

Leave a Reply